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실태, 그 끝은 어디인가
본문 바로가기
알면 유용한 상식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실태, 그 끝은 어디인가

by 알중김 2025. 5. 27.

1. 5월 어린이날 연휴 기간에는 120개 이상의 미신고 객실이 운영



최근 몇 년 사이, 개발 열풍에 힘입어 전국 곳곳에 들어선 생활숙박시설. 호텔처럼 보이지만 개인이 객실을 분양받아 운영하는 형태로, 새로운 부동산 투자 모델로 주목받아 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활숙박시설이 제도적 허점을 틈타 불법 투숙 영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강릉의 한 생활숙박시설의 사례를 보면, 전체 279개 객실 중 정식으로 숙박업 신고가 된 객실은 163개뿐이었고, 나머지 116개는 신고도, 분양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런데도 예약 사이트를 통해 일반 투숙객을 받으며 영업을 이어온 정황이 내부 자료를 통해 드러났습니다. 특히 5월 어린이날 연휴 기간에는 120개 이상의 미신고 객실이 운영되었으며, 1층 카페는 위생 신고조차 없이 아침 식사를 판매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는 아무런 정보도 제공받지 못한 채 미신고 시설에서 머무르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활숙박시설의 불법 영업 문제와 함께,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생활숙박시설 분양형 호텔 개념으로 운영되는 숙박시설
미신고 객실 법적 등록 없이 운영되는 위험한 숙소
728x90

2. 위생 점검 또한 한 번도 받지 않은 채 투숙객에게 음식을 제공

강릉의 한 생활숙박시설. 겉보기엔 일반 호텔처럼 보이지만, 내부는 사뭇 다릅니다. 전체 279개 객실 가운데 실제로 숙박업 신고를 마친 객실은 163개. 나머지 116개 객실은 신고는커녕 분양조차 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취재진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시설은 이미 지난 2월부터 신고되지 않은 객실에 손님을 받고 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5월 황금연휴 기간엔 무려 120개 이상 객실이 불법으로 운영되었으며, 이는 명백한 법률 위반 행위입니다.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불법은 객실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해당 시설의 1층에 위치한 카페는 영업신고 없이 아침 식사를 판매하고 있었으며, 위생 점검 또한 한 번도 받지 않은 채 투숙객에게 음식을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해당 행위는 식품위생법을 위반하는 것으로, 실제로 관할 보건소는 제보를 받고 점검에 나섰고, 행정지도서를 발부하며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향후에도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영업정지 처분까지 가능한 상황입니다.

3. 키 포인트




Key Points

이처럼 생활숙박시설의 불법 운영은 업계 전반에 퍼진 고질적 문제로, 공급 과잉과 미분양이 쌓이면서 매출 확보를 위해 법까지 무시하는 관행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신고 객실은 행정과 위생 관리 대상에서 제외되며, 화재나 사고 발생 시 보험 처리조차 어려운 상황이 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소비자가 객실의 신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은 없으며, 예약 사이트조차 이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생활숙박시설 미신고 객실 위생법 위반
분양형 호텔로 운영되는 숙박시설 숙박업 신고 없이 운영되는 위험한 공간 영업신고 없이 식사 제공 시 법 위반
분양 미달 시 수익 위해 불법 운영 소비자는 신고 여부 확인 불가 위생 점검 없으면 식중독 등 위험 발생


 

4.Q & A

BIG

Q1. 생활숙박시설은 호텔과 어떻게 다른가요?

생활숙박시설은 일반인이 객실을 분양받고, 위탁사를 통해 호텔처럼 운영하는 구조로, 상시 거주보다는 임시 숙박용입니다. 다만 숙박업 신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Q2. 미신고 객실에서 숙박하면 소비자는 어떤 위험을 감수하나요?

행정·위생 점검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 위생사고, 보험 미적용 등의 위험이 있으며, 피해 발생 시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습니다.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생활숙박시설 불법 운영


 

Q3. 소비자가 신고 여부를 확인할 방법은 없나요?

현재로서는 예약 사이트에 신고 여부 표기가 없어 소비자가 사전에 확인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습니다.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5. 마무리

생활숙박시설은 부동산 시장과 숙박 산업의 결합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했지만, 제도의 사각지대를 파고드는 불법 운영이 고착화되면 사회적 신뢰와 소비자 안전 모두를 해칠 수 있습니다. 숙박업 신고제의 실효성, 위생 점검 강화, 소비자 알 권리 보장 등 보다 촘촘한 제도 개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사례를 통해 단순한 불법의 문제를 넘어,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제도적 허점과 그 보완 방안을 함께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여러분은 생활숙박시설의 불법 운영 실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혹시 유사한 경험이 있으셨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