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약 5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백색왜성 BPM 37093 'LUCK'
우리는 하늘을 보며 종종 별을 반짝이는 보석에 비유하곤 합니다. 그런데 정말로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별이 존재한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관측 결과, 'Lucy'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BPM 37093은 대부분이 탄소 결정체, 즉 다이아몬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이 별은 지구에서 약 5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백색왜성으로, 중심부가 매우 차갑고 안정되면서 고밀도 탄소가 결정화되어 마치 하나의 거대한 다이아몬드 덩어리처럼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크기 또한 놀라운데요, 지구의 약 10배 정도 크기로, 이 놀라운 구조를 이해하면 별의 생애와 진화 과정도 보다 쉽게 풀어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우주에서 가장 화려한 별, 'Luc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PM 37093 | 별명 'Lucy', 고체 다이아몬드 구조를 가진 백색왜성 |
크기 | 지구 지름의 약 10배, 태양 질량의 1.1배 수준 |
BPM 37093은 지구에서 약 50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방향에 위치한 백색왜성(White Dwarf)입니다. 이 별은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항성이 수명을 다한 후에 남긴 잔해로, 온도는 낮지만 밀도가 매우 높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내부의 탄소는 점차 고체 상태로 결정화되는데, 바로 이 과정을 통해 BPM 37093은 거대한 다이아몬드처럼 변해버린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별을 'Lucy'라는 애칭으로 부르며, ‘하늘에서 가장 크고 비싼 보석’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BPM 37093의 핵심은 바로 다이아몬드 핵(core)입니다. 별의 중심부에 있는 고체 탄소는 백색왜성 내부의 극고압과 극저온 환경에서 서서히 결정화되며, 실제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갖습니다. 이러한 결정 구조는 지구에서 수천억 년이 지나야 형성되는 것을, 별의 환경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별의 탄소 중심이 약 100억 트릴리언 캐럿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BPM 37093은 단순한 천체를 넘어, 별의 진화 과정과 백색왜성 내부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열쇠입니다. 향후 유사한 백색왜성들을 관측하고 분석함으로써, 다른 별들도 다이아몬드처럼 결정화될 수 있는지를 밝혀낼 수 있습니다. 이로써 우주는 단순히 어두운 공간이 아닌, 보석처럼 반짝이는 비밀이 숨겨진 신비한 세계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BPM 37093 | 다이아몬드 별 | 백색왜성 구조 |
고래자리 위치, 지구에서 50광년 거리 | 중심이 결정화된 탄소로 이루어진 별 | 고온·고압 환경에서 형성된 다이아몬드 핵 |
지구 크기의 10배, 태양 질량의 1.1배 | 100억 트릴리언 캐럿의 보석 가치 추정 | 항성 진화 연구에 있어 중요한 사례 |

‘Lucy’는 단지 아름다운 이름의 별이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매우 특별한 존재입니다. 이 다이아몬드 별은 항성의 진화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이며, 동시에 우주가 얼마나 다채롭고 신비로운지를 일깨워 줍니다. 빛나는 보석이 하늘에 떠 있다는 상상, 그 자체가 이미 과학과 낭만이 만나는 지점일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다이아몬드 별 ‘Lucy’에 대해 처음 들어보셨나요? 만약 우주에 진짜 보석 같은 별이 있다면, 여러분은 어떤 이름을 붙이고 싶으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상상과 궁금증을 자유롭게 나눠 주세요!
'알면 유용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은 정말 둥글게 돌까? 기형적인 궤도의 진실 (0) | 2025.05.15 |
---|---|
125데시벨의 파괴적 음향, 왜 우리는 태양 소리를 들을 수 없을까? (0) | 2025.05.14 |
우주는 얼마나 차가울까? -270.45°C의 신비 (0) | 2025.05.14 |
금성에서는 하루가 1년보다 길다? 놀라운 행성의 시간 (0) | 2025.05.14 |
우주에서는 어떤 냄새가 날까? 비밀스러운 ‘우주의 향기’ (0) | 2025.05.14 |
토성, 물에 뜰 수 있는 거대 행성의 비밀 (0) | 2025.05.14 |
중성자별.티스푼 하나가 50억 톤, 상상을 초월하는 밀도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