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기억을 할 수 있을까? 과학의 대답은 '아니오'
본문 바로가기
알면 유용한 상식

물은 기억을 할 수 있을까? 과학의 대답은 '아니오'

by 알중김 2025. 5. 18.
728x90
반응형
SMALL

동종요법의 핵심 주장, 물의 기억력은 사실이 아니다



물은 모든 것을 기억한다”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특히 동종요법에서는 특정 물질을 거의 사라질 정도로 희석한 후에도 그 ‘기억’이 물에 남아 치유 효과를 낸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현대 과학의 시선은 다릅니다. 실험과 분석을 통해 밝혀진 사실은, 물은 이전에 어떤 물질이 있었는지를 기억하거나 유지하는 능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물은 분자 간 결합이 매우 빠르게 깨지고 재배열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기억’을 유지할 수 있는 방식 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 논란 많은 주제인 ‘물의 기억력’에 대해 과학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물의 기억력이란? 물이 한때 섞였던 물질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는 개념
과학의 입장은? 분자 간 수소결합은 수조 밀리초 내 재구성되어, 구조적 기억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물의 기억력
그림1:물의 기억력

물의 기억력이라는 개념은 1980년대 프랑스의 면역학자 자크 벵베니스트의 논문으로 대중적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물이 한때 포함했던 물질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이는 동종요법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논문은 재현성 부족과 실험 설계의 문제로 인해 과학계에서 철저히 반박되었으며, 이후 사이언스(Science) 등 주요 학술지에서도 공식적으로 부정되었습니다.



과학적으로 물은 매우 유동적인 구조를 가집니다. 분자 간의 수소결합은 수조 밀리초 수준에서 빠르게 끊어지고 재결합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구조나 패턴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물이 특정 정보를 ‘기억’하고 유지한다는 주장은 물리화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이는 마치 한 번 섞은 물질이 완전히 사라졌는데도 그 ‘흔적’이 치료 효과를 낸다는 믿음과 같으며, 플라시보 효과와 혼동되기 쉽습니다.




Key Points

오늘날에도 ‘물의 기억’을 주장하는 제품이나 요법들이 있지만, 과학적 실험에서는 어떤 통계적 유의성도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정밀한 이중맹검 실험에서는 대부분 효과가 없거나 플라시보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과학은 증거를 기반으로 하며, 감성적인 신념보다는 반복 가능한 데이터에 기반해 판단해야 합니다.

물의 기억력
그림2: 물의 기억력


동종요법 수소결합 플라시보 효과
고희석 용액에서 물의 기억력 주장 수 밀리초 단위로 결합과 분리 반복 믿음으로 인해 생기는 긍정적 효과
과학계에서는 인정되지 않음 구조적 기억 형성이 불가능 실제 치료 효과와는 무관한 심리 반응

반응형

 

물이 기억을 한다는 이론은 과학적으로 가능할까요?

현재까지의 과학적 근거로는 물이 정보를 저장하거나 기억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동종요법은 왜 여전히 사용되나요?

일부 사람들은 플라시보 효과나 신념, 경험적 믿음으로 동종요법을 따르지만, 과학적 효능은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물의 기억력
그림3:물의 기억력


 

과학은 왜 반복 실험을 중시하나요?

과학적 사실은 한 번의 실험이 아닌, 반복 실험을 통해 일관되게 재현되어야 객관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의 기억력이라는 개념은 흥미로운 상상일 수는 있지만, 현재 과학의 기준으로는 사실이 아닌 주장입니다. 모든 이론은 재현 가능한 증거 위에서만 의미를 가집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일수록, 우리는 더욱 비판적 사고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물의 기억력’에 대한 주장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또는 동종요법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신가요?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주세요.

728x90
반응형
SMALL